
발사랑 건강관리센터 사역 비전
“둘째도 그와 같으니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 하셨으니(마태복음 22:39)”교회에 여러 가지 기능과 역할이 있으나, 그 중 현대 사회의 소외와 불균형 속에서 고통 받는 이웃들에 대한 지속적인 봉사와
사랑의 실천은 교회의 중요한 기능입니다. 따라서 새성남교회는 2008년 9월 전교인을 대상으로 <발사랑 섬기미 강좌>를 개최하여 이웃과
지역사회를 섬길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 후, 지역사회에서 사회봉사의 기관으로 <발사랑 건강관리센터>를 개설하여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예약제로 운영하며 사회봉사의 기관으로 활동함과 동시에, 선교와 전도의 기회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발반사요법은 대체의학의 한 영역이다.
중국의 의학에는 소인상법(小人相法)이라는 만사요법이 있다.
인체 안에 작은 인체를 형성하는 반사구기 있다는 개념인데 양발을 모으면 그 양발이 우리 몸의 전체를 대표하는 반사구라는 것이다.
발 반사용법은 반사구를 이용한 자연요법이다.
인체는 어떤 질병에 대하며 자연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각 기관마다 종합병원과 같이 치유할 수 있는 힘이 있는데
그 능력을 개발시켜 건강을 증진시키자는 것이다.
인체는 어떤 자극을 감각하고 이에 대해 반응을 한다.
반사란 어떤 자극에 대하여 감각이 되고 감각이 신경을 통해 중추신경에 전달되어 근육이나 선 등의 지배기관에 이르러 효과를 나타내는 현상이다.
반사가 일어날 경우 자극이 통과하는 신경도를 반사궁이라 한다.
특히 발바닥에는 인체의 각 기관과 상응된 반사 신경이 밀집되어 있는데 이것을 반사구라고 한다.
반사구는 온몸에 분포하고 있지만 유난히 전신을 반사구로 잘 반영하는 곳이 손바닥, 발바닥, 귀, 눈이다.
1913년 미국의 물리학자 윌리엄 피츠제랄드(Fitzeraki)는 신체의 중앙을 경계로 머리에서 발끝까지 좌우를 각각 5줄의 수직반사구역(Zone)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을 팔다리의 손가락, 발가락 끝까지 이어진다고 보았다.
예를 들면, 제1영역은 팔다리의 엄지손가락, 엄지발가락이며 제5영역은 팔다리의 새끼손가락 새끼발가락으로 하였다.
이것이 반사용법이 반사구역을 나누는 원리이다.
손의 반사구에 관한 피츠제랄드의 반사구역도에 의하면 손 부위의 반사신경은 인체의 관련기관에 직접 이르지 못하고 먼저 뇌부에 반사된 후
다시 뇌부에서 관련기관에 이르기 때문에 발 부위의 반사구보다 민감하지 않다. 즉 발반사구가 직접반사신경(1차 반사신경)이 밀집된 곳이라면
손반사구는 간접반사신경(2차 반사신경)이 연결된 곳이라 하겠다. 이는 발건강 관리법이 손보다 중요시되는 이론적 근거이다.
중국의 의학에는 소인상법(小人相法)이라는 만사요법이 있다.
인체 안에 작은 인체를 형성하는 반사구기 있다는 개념인데 양발을 모으면 그 양발이 우리 몸의 전체를 대표하는 반사구라는 것이다.
발 반사용법은 반사구를 이용한 자연요법이다.
인체는 어떤 질병에 대하며 자연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각 기관마다 종합병원과 같이 치유할 수 있는 힘이 있는데
그 능력을 개발시켜 건강을 증진시키자는 것이다.
인체는 어떤 자극을 감각하고 이에 대해 반응을 한다.
반사란 어떤 자극에 대하여 감각이 되고 감각이 신경을 통해 중추신경에 전달되어 근육이나 선 등의 지배기관에 이르러 효과를 나타내는 현상이다.
반사가 일어날 경우 자극이 통과하는 신경도를 반사궁이라 한다.
특히 발바닥에는 인체의 각 기관과 상응된 반사 신경이 밀집되어 있는데 이것을 반사구라고 한다.
반사구는 온몸에 분포하고 있지만 유난히 전신을 반사구로 잘 반영하는 곳이 손바닥, 발바닥, 귀, 눈이다.
1913년 미국의 물리학자 윌리엄 피츠제랄드(Fitzeraki)는 신체의 중앙을 경계로 머리에서 발끝까지 좌우를 각각 5줄의 수직반사구역(Zone)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을 팔다리의 손가락, 발가락 끝까지 이어진다고 보았다.
예를 들면, 제1영역은 팔다리의 엄지손가락, 엄지발가락이며 제5영역은 팔다리의 새끼손가락 새끼발가락으로 하였다.
이것이 반사용법이 반사구역을 나누는 원리이다.
손의 반사구에 관한 피츠제랄드의 반사구역도에 의하면 손 부위의 반사신경은 인체의 관련기관에 직접 이르지 못하고 먼저 뇌부에 반사된 후
다시 뇌부에서 관련기관에 이르기 때문에 발 부위의 반사구보다 민감하지 않다. 즉 발반사구가 직접반사신경(1차 반사신경)이 밀집된 곳이라면
손반사구는 간접반사신경(2차 반사신경)이 연결된 곳이라 하겠다. 이는 발건강 관리법이 손보다 중요시되는 이론적 근거이다.
발반사 자극 후
치유과정에서 나타나는 반응
치유과정에서 나타나는 반응
- 1. 발목이 붓는다.
- 2. 발의 정맥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 3. 반사구에 통증이 있다.
- 4. 수면 시간이 늘어난다.
- 5. 소변의 양이 증가하고 색과 냄새가 짙어진다.
- 6. 대변의 횟수와 양이 늘어나고 냄새와 방귀가 증가한다.
- 7. 입안이 마르고 갈증이 난다.
발반사 요법의 효과
- 1. 혈액순환 개선으로 수족 냉증 등 각종 부인병을 해소한다.
- 2. 콜레스테롤을 저하시며 비만, 혈압, 당뇨 등 각종 성인병, 현대병을 예뱅 및 통치한다.
- 3. 내분비 계통의 활성화로 신진대사가 촉진되며 두뇌의 능률을 향상시킨다.
- 4. 스트레스와 만성피로를 해소하고 체내 노폐물이나 독소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킨다.








